이 책은 한국사학, 풍수학, 건축역사학, 국문학, 민속학을 전공한 여섯 명의 필자가 참여하여 각각의 주제 하에 우리의 풍수 문화와 한국인의 풍수의식 등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각 필자들은 '문헌, 현장,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의 풍수 문화에 관해 논의를 하였다.
  한국인들은 왜 풍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발복풍수에 그토록 의존하려고만 하며, 이를 극복할 새로운 대안은 없는가 하는 점까지를 염두해 두고 기획하였다. 현대인들의 명당 희구 욕망을 어느 정도 이해한다 하더라도, 이제는 조상의 음덕으로 발복, 출세하려는 생각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할 수 있는 환경 친화 쪽으로 관심을 돌려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읽는 이가 재미와 감동을 느끼고, 효도하려는 마음을 조금이라도 갖게 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엮은 것이다.
  이 책에 실린 이야기는 저자가 어려서부터 들은 이야기와 전국 각 지역을 찾아다니며 채록한 이야기를 주로 하고, 거기에 『삼국유사』나 최근에 나온 설화집에 실린 이야기를 뽑아서 보탠 것이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을 다듬고, 손질을 하였으므로 원래의 모습과 조금 달라진 것도 있다.
  이 책의 이야기들에는 '진정한 효행이란 부모의 마음을 알고 편안하게 해드리는 것'이라는 조상들의 의식이 곳곳에 생생히 담겨 있다.
  이 책은 부모에 대한 사랑과 존경이 사라져가는 세태를 안타까워하면서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많은 사람들에게 효행의 마음과 방법을 일깨워 줄 것이다.


 

 


 

 


   민담은 우리 조상들이 향유해 온 재미있는 이야기인데, 우리 조상들의 꿈과 낭만, 웃음과 재치, 생활을 통해서 얻은 교훈, 역경을 이겨내는 슬기와 용기 등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 책에는 각지에서 채록한 민담을 동물 이야기, 신비한 이야기, 일상적인 이야기, 웃음과 지혜 이야기 등으로 나누어 실었다. 구연자의 구연 내용을 원음대로 전문을 수록하고, 그 앞에 줄거리를 붙여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이야기 뒤에는 채록 일시, 구연자의 인적 사항, 만나게 된 경위 및 채록 상황, 청중, 처음 들은 때 및 들려준 사람, 구연 경력, 제목의 전승 여부 등을 적어 설화 연구 자료로서의 충실을 기하였다.
  <한국의 민담 1>은 전국 각지에서 채록한 민담 103편을, <한국의 민담 2>는 충청남도 지역에서 채록한 민담 102편을 뽑아 엮은 것이다.

  이 책은 암행어사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독자들이 친밀감을 갖고, 쉽게 읽고 이해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 책이다.
  이 책에서는 정조실록의 기사를 바탕으로 한 암행어사의 특징적인 모습을 제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암행어사의 기원과 제도적 정착 과정, 암행어사 이야기에 나오는 어사의 유형, 설화에 나타난 박문수의 인간상과 전승 집단의 의식, <춘향전>에서의 핵심 소재로서의 활용, 암행어사의 기능과 역할에 초점을 맞춘 암행어사 소설의 분석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이 국내외 독자들에게 한국의 암행어사에 관한 이해의 폭을 조금이라도 넓혀 주는 계기로 작용하기를 바란다.
 

  그동안 학계에서 말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글들을 모아서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그동안 우리의 민족사와 말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연구에 있어서는 성과가 적었던 편이다. 말은 가축의 하나로 생활의 주변에서 늘 대할 수 있어서 특별한 인식이나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생활과 밀접했기에 민속학에서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말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가축이나 동물로서의 말, 경제적인 효과로서의 말, 고고학의 한 분야로서의 말에 대한 접근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에 수록된 논문들은 말에 대한 신앙이나 관습, 인식 등 민속학적인 성과를 위주로 모은 글들이다.



 

마을 공동체 신앙은 마을의 수호신을 마을 신당에 모셔놓고, 액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이기 위해 마을 사람들이 주기적으로 제의를 올리는 마을의 공동 신앙이다.
  이 책은
충남 홍성 지역 마을 공동체 신앙의 실상을 알아보기 위해 김정헌 선생과 함께 이 지역에서 행해지는 마을 공동체 신앙의 현장을 직접 찾아가 조사한 후, 실상을 사진 자료와 함께 싣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책의 1장에서는 마을 공동체 신앙의 성격, 2장에서는 홍성군의 지리적, 문화적 배경과 현황, 마을 공동체 신앙 조사 방법과 성과, 3장에서는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홍성 지역 마을 공동체 신앙의 실상, 4장에서는 홍성 지역 마을 공동체 신앙 조사 자료를 사진과 함께 상세하게 정리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