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정조실록의 기사를 바탕으로 한 암행어사의 특징적인 모습을 제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암행어사의 기원과 제도적 정착 과정, 암행어사 이야기에 나오는 어사의 유형, 설화에 나타난 박문수의 인간상과 전승 집단의 의식, <춘향전>에서의 핵심 소재로서의 활용, 암행어사의 기능과 역할에 초점을 맞춘 암행어사 소설의 분석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이 국내외 독자들에게 한국의 암행어사에 관한 이해의 폭을 조금이라도 넓혀 주는 계기로 작용하기를 바란다.
'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효행 이야기(집문당, 1999) (0) | 2011.07.11 |
---|---|
한국의 민담 1, 2(시인사, 1999) (0) | 2011.07.11 |
한국의 馬 민속(공저, 집문당, 1999) (0) | 2011.07.11 |
홍성의 마을 공동체 신앙(홍성문화원, 1999) (0) | 2011.07.11 |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집문당, 1998) (0) | 201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