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우리의 문학 유산을 누구나 쉽게 읽고 즐기며 문제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된 [국문학총서] 간행의 일환으로 펴낸 책이다. 이 책은 해제와 '심청전'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해제는 자세한 이본의 특색과 계열, 모든 이본의 공통 단락, 배경 설화 및 형성 과정, 작품의 구조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본문은 완판본을 실었다.

 

 

   이 책은 <심청전>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서이다.
  제2장에서는 <심청전>의 이본 중 목판본 11종, 필사본 10종, 활자본 11종 등 모두 32종의 이본을 대상으로 각 이본의 서지 및 특색과 계열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본의 계열별 내용을 비교 검토하여 계열별 선후 관계를 밝혔다.
  제3장에서는 배경설화의 유형과 전승 양상을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배경설화의 소설화 과정, 소설과 판소리의 관계 등을 검토하여 <심청전>의 형성 과정을 밝혔다. 
  제5장에서는 심청전의 순환 쳬계를 정리하고, 제6장에서는 <심젗전>에 나타난 순환의 의미와 원리를 분석하였다.  

 1. 충청남도 민담,  서울: 집문당, 1980. 10. 30. 425.

 2. 국문학 입문(공저),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1. 5. 10. 

    총 258.

 3. 심청전 연구, 서울: 집문당, 1982. 9. 20. 240.

 4. 심청전(교주본),  서울: 시인사, 1984. 2. 1. 200.

 5. 문학교육론(공저), 서울: 집문당, 1986. 1. 10. 350.

 6. 한국의 민담 1, 서울: 시인사, 1987. 06. 30. 453.

 7. 한국의 신화(공편저), 서울: 시인사, 1988. 01. 30. 350.

 8. 전래동화교육론(공저), 서울: 집문당, 1988. 7. 20. 314.

 9. 한국 설화 연구서울: 집문당, 1991. 07. 15. 461.

10. 옛이야기에 나타난 한국인의 삶과 죽음,  서울: 한울, 1992. 7. 15. 

    총 254.

11. 민속적인 삶의 의미,  서울: 한울, 1993. 2. 25. 280.

12. 가을햇빛 비치는 창가에서, 서울: 계명문화사, 1993. 8. 10. 

    총 328.

13. 한국 구비문학 개론(공저), 서울: 민속원, 1995. 3. 15. 445.

14. 한국의 점복(공저), 서울: 민속원, 1995. 10. 15. 329.

15. 홍성의 민담, 홍성: 홍성문화원, 1996. 12. 15. 752.

16. 전설의 현장을 찾아서, 서울 : 민속원, 1997. 1. 10. 382

17. 백령도-명승지와 민속-(공저), 서울 : 집문당, 1997. 6. 1. 212.

18. 한국 고소설 연구, 서울: 보고사, 1997. 9. 10. 509.

19. 홍성의 무속과 점복(공저), 홍성: 홍성문화원, 1997. 12. 31. 

    총 292.

20.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서울: 집문당, 1998. 4. 5. 

    총 478 .

21. 한국 민속학 개론(공저), 서울: 민속원, 1998. 8. 30. 491.

22. 한국의 효행 이야기, 서울: 집문당, 1999. 1. 5. 276.

23. 한국의 말[] 민속(공저), 서울: 집문당, 1999. 1. 20, 306.

24. 암행어사란 무엇인가(공저), 서울: 박이정, 1999, 6. 22. 254.

25. 한국의 민담 2, 서울 : 시인사, 1999. 8. 25. 410.

26. 홍성의 마을공동체 신앙(공저), 홍성 : 홍성문화원, 1999. 12. 30.

    350.

27. 함께 떠나는 이야기 여행, 서울: 민속원, 2001. 7. 30. 318.

28. 한국의 풍수문화(공저), 서울: 박이정, 2002. 2. 28. 243.

29. 한국 구전설화집 4서산·태안 편, 서울 : 민속원, 2002. 8. 10. 

    총 528.

30. 한국 구전설화집 5연기 편, 서울 : 민속원, 2002. 8. 10. 638.

31. 한국 구전설화집 6홍성 편 (공편저), 서울: 민속원, 2002. 8. 10.

     440

32. 한국 구전설화집 7홍성 편 (공편저), 서울: 민속원, 2002. 8. 10.

     총 416.

33. 한국의 서사 전통과 설화문학, 서울: 민속원, 2002. 10. 30. 

     총 717.

34. 설화,고소설 교육론(공저), 서울: 민속원, 2002. 11. 30. 966.

35. 전설과 지역문화(공저), 서울: 민속원, 2002. 11. 30. 793.

36. 꼭 제대로 읽어야 할 우리 고전심청전, 서울 : 종문화사

     2005. 4. 7. 167.

37. 한국구전설화집 10예산 편(공편저), 서울: 민속원, 2005. 4. 30. 

    총 466.

38. 한국인의 삶과 문화, 서울: 보고사, 2006. 11. 08. 341.

39. 다시 떠나는 이야기 여행, 서울: 종문화사, 2007. 8. 23. 436.

40. 옛날 옛적에, 서울: 민속원, 2008. 1. 18. 348.

41. 금방울전, 서울: 지만지고전천줄, 2008. 6. 15. 119.

42. 심청전, 서울: 지만지고전천줄, 2008. 7. 15. 168.

43. 옥단춘전, 서울: 지만지고전천줄, 2008. 10. 15. 98.

44. 김학공전, 서울: 지만지고전천줄, 2009. 1. 15. 139.

45. 외국인을 위한 한국, 한국인 그리고 한국문화(공저), 서울: 보고사

     2009. 12. 8. 480.

46.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공저), 서울: 보고사, 2010. 8. 30. 

    총 316 

47. 우리문학의 숲 2-심청전, 서울: 대교출판사, 2011. 1. 3. 총 159쪽.

48. 우리문학의 숲 10-이춘풍전, 서울: 대교출판사, 2011. 1. 3. 총 119쪽.

49. 우리문학의 숲 20-금방울전, 서울: 대교출판사, 2011. 1. 3. 총 159쪽.

50. 터키 1000일의 체험(공저), 서울: 민속원, 2012. 8. 25. 총 544쪽.

51. 능소화처럼, 서울: 보고사, 2015. 10. 25. 총 365쪽.

52. 옛이야기 속 행복 찾기, 서울: 보고사, 2017. 11. 25. 총 366쪽.

53. 성경 이야기와 한국 이야기, 서울: 보고사, 2020. 08. 28. 총 294쪽.

54.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서울: 학연제, 2021. 05. 31. 262쪽.

 

'저서/논문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재의 논문 목록  (0) 2011.07.10

1. “무왕(武王) 설화의 정착 과정,” 석주선 교수 화갑기념 민속학논총,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71,   12. 25, 73~82.

 2. “지하국 설화의 형태,” 箕軒 孫洛範 선생 회갑기념논문집, 서울 :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1972. 12. 25, 473~483.

 3. “쫓겨난 여인 발복 설화고,” 한국민속학 제6, 서울 : 민속학회, 1973. 10. 5, 51~69.

 4. “재생(再生) 설화의 재생 양식,” 성대문학 19,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76. 52~71.

 5. “재생(再生) 설화에 나타난 영혼과 내세,” 논총 인간과 미래 제3, 서울 : 중앙신학교 출판부, 1976, 2. 10, 185~203.

 6. “재생(再生) 설화의 소설화(小說化),” 서원(栖園) 방용구(龐溶九) 박사 화갑기념논총,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75. 2. 28, 169~186.

 7. “김학공전연구,” 국어국문학 제74, 서울 : 국어국문학회, 1977. 4. 30, 71~89.

 8. “이규보(李奎報)의 시론(詩論)백운소설(白雲小說)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제2, 서울 : 한국한문학연구회, 1977. 12. 30, 105~123.

 9. “어우야담(於于野談)에 나타난 어우당(於于堂)의 설화의식,” 한국민속학 제10, 서울 : 민속학회, 1977. 12. 30, 137~148.

10. “옥단춘전소고,” 국제대학 논문집, 6, 서울 :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8. 4. 30, 79~90.

11. “삼설기의 설화적 배경과 한문단편과의 관계<삼사횡입황천기>를 중심으로,” 국제대학 논문집 제7, 서울 :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9. 4. 30, 23~36.

12. “설화교육 서설,” 한국어교육 제1, 서울 : 한국 국어과 교육 개발연구회, 1980. 4. 15, 56~83.

13. “고시조에 나타난 남녀의 애정,” 국제대학 논문집 제8, 서울 :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80. 6. 30, 5~30

14. “심청전이본고()방각본 심청전의 서지 및 특색과 계열,” 도남학보 제5, 서울 : 도남학회, 1982. 4. 12, 7~26.

15. “심청전 이본고()필사본 심청전의 서지 및 특색과 계열,” 인문과학연구 제1, 서울 : 국제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982. 6. 15, 33~53.

16. “심청전 이본고() -활자본 심청전의 서지 및 특색과 계열-,” 국제대학 논문집 제10, 서울 : 국제대학 출판부, 1982. 9 5, 99~126.

17. “효행 설화에 나타난 전승집단의 의식,” 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술, 서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4. 2. 20, 305~343.

18. “다시 찾은 옥새설화의 구조와 의미,” 石溪 李明九 박사 회갑기념논총, 서울 : 간행위원회, 1984. 10. 25, 53~63.

19. “금방울전연구,” 국제대학 논문집 제12, 서울 : 국제대학 출판부, 1984. 10. 20, 5~57.  

20. “고소설의 이본(異本) 연구,” 국제대학 논문집 제13, 서울 : 국제대학 출판부, 1985. 12. 30, 7~35.

21. “계모 설화의 연구,” 한국의 민속 제3,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86. 4. 20, 1~34.

22. “문학교육론 서설,” 국제어문 6·7합집, 서울 : 국제어문학연구회, 1986. 6. 25, 385~424.

23. “전래동화 교육론()전래동화의 성격과 특성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서울 : 배영사, 1986. 11. 10, 394~431.

24. “설화에 나타난 충()의 양상,” 예술계 제37(통권 제14),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6. 7. 1, 148~159.

25. “민담에 나타난 한국인상(韓國人像),” 예술계 제312(통권 제19),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6. 12. 1, 102~112.

26. “설화에 나타난 삶의 슬기민간의식 속에 살아 있는 토끼를 중심으로,” 예술계 제41(통권 제20),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7. 1. 1, 130~141.

27. “한국인의 의식 속의 호랑이,” 예술계 제42(통권 제21),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7. 2. 1, 198~209.

28. “소가 된 게으름쟁이설화의 구조와 의미,” 청람문화 창간호,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1987. 2. 25, 112~120.

29 “중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교원교육 제31,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1987. 12. 30, 41~53.

30. “나무꾼과 선녀설화의 고찰,” 청람어문학 제1, 청원 : 청람어문학회, 1988. 2. 25, 59~85.

31. “민담에 나타난 변신(變身)의 양식과 의미,” 문학과 비평 제21(통권 제5), 서울 : 문학과 비평사, 1988. 3. 1, 236~246.

32. “전설의 허구와 사실과의 관계단맥형(斷脈型) 판목 전설을 중심으로-,” 야천 이병호 박사회갑기념논문집,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89. 8. 15, 302~315.

33. “김씨열행록연구,” 국제어문 제11, 서울 : 국제 어문학 연구회, 1990. 7. 30, 47~76.

34. “설화에 나타난 말[]의 성격과 전승집단의 의식,” 석천 정우상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서울 : 교학사, 1990. 9. 1, 627~636.

35. “삼자원종기(三子願從記)의 설화적 배경과 신선관,” 한국어문교육 제1,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990. 10. 1, 97~109.

36. “서사작품에 나타나는 남장신부(男裝新婦) 모티프의 성격과 의미,” 벽사 이우성 선생 정년퇴직기념 국어국문학논총, 서울 : 여강출판사, 1990. 11. 15, 1047~1064.

37. “심청가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 서울 : 한글학회, 1990. 12. 30, 35~50.

38. “설화와 기록문학의 관계,” 계봉 임만영 교수 화갑기념논문집,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91. 6. 15, 603~619.

39. “설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영혼관과 내세관,” 한승호 목사 고희기념논문집,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91. 7. 20, 37~60.

40. “설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의식,” 국제어문 12·13합집, 서울 : 국제어문학연구회, 1991. 8. 31, 263~287.

41. “삼생록의 구조와 의미,” 대동문화연구 제2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1. 12. 30, 7996.

42. “전래동화의 성격과 교육적 의미,” 국어과 교육학의 이론과 방법 연구, 서울 : 교학사, 1992. 6. 26, 412~419.

43. “단군신화의 교육적 성격과 의미,” 국어교육 제79·80, 서울, 한국 국어교육연구회, 1992. 12. 25, 369~395.

44. “옥단춘전,” 황패강 교수 정년퇴직기념논총 고전소설연구, 서울 : 일지사, 1993. 4. 10, 480~491.

45. “단군신화 교육의 현황과 지도 방향,” 청하 성기조 선생 화갑기념 논문집, 신원문화사, 1993. 6. 1, 1303~1321.

46. “서사작품에 나타나는 신발의 성격과 의미,” 한민족 제4, 서울 : 교문사, 1993. 6. 25, 5~27.

47.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 및 선후 관계,” 소재영 교수 회갑기념 논총 고소설사의 제문제, 서울 : 집문당, 1993. 11. 1, 767~786.

48. “조선 시대의 소설관,” 한국어문교육 제3.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993. 12. 20, 158~197.

49. “한국 민담의 연구,” 한국민속연구사, 서울 : 지식산업사, 1994. 8. 30, 147~159.

50. “단군신화의 문헌 수록 양상과 서사문학적 성격,” 경산 사재동 박사 화갑기념논총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대전 : 중앙문화사, 1995. 5. 20, 437~452.

51. “점복 신앙(占卜信仰)의 의미와 원리,” 국제어문 제16, 서울 : 국제 어문학 연구회, 1995. 5. 10, 363~372.

52. “백령도 지역의 심청 전설연구,” 한국민속학보 7, 서울 : 한국민속학회, 1996. 12. 30, 467~519.

53. “도미 설화의 전승 양상,” 고문화 49, 서울 : 한국 대학박물관협회, 1996. 12. 31, 151~170.

54. “김태곤의 문학 연구 성과와 의의,” 민속문학과 전통문화, 서울 : 박이정, 1997. 6. 30. 37~50.

55. “심청전에 나타난 순환과 인신공희의 의미,” 한국문화의 원본사고, 서울 : 민속원, 1997. 7. 4, 196~218.

56. “문헌설화에서의 성()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의 민속과 성, 서울 : 지식산업사, 1997. 10. 10, 7~42.

57. “온달 설화의 전승 양상,” 청람어문학 20, 청원 : 청람어문학회, 1998. 1. 13. 59~75

58. “심청 전설의 변이 양상과 그 원인개암 조규일 박사 화갑기념논총 국어국문학논총, 서울 : 박이정, 1998. 2. 16. 467~479.

59. “설화 조사·연구의 방법과 성과,” 설화문학연구(), 서울 :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 6. 28. 325~349.

60. “심청전의 구조와 의미,” 고전작가 작품의 이해, 서울 : 박이정, 1998. 9. 20. 365~378.

61. “6차 교육과정기 각급 학교 교과서에서의 단군신화 수용 실태,” 육헌 한상수 박사 화갑기념논총, 대전 : 동 간행위원회, 1998. 12. 17. 545~556.

62. “설화에 나타난 박문수의 인간상과 민중의 의식,” 청람어문학 21, 청원 : 청람어문학회, 1999. 3. 31. 43~72.

63. “오누이 성 쌓기 내기 전설의 의미와 기능-홍성 지역 석성산성과 학성산성, 복신굴, 상여바위 전설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과 비교문화, 서울 : 민속원, 1999. 11. 20. 105~127.

64. “인신공희(人身供犧)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보 제10, 서울 : 한국민속학회, 1999. 12. 30. 167~207

65. “효행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 한국의 예절 제1, 서울 : 예절학회, 1999. 12. 15. 35~47.

66. “심청 전설심청전의 관계,” 고소설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지향, 서울 : 보고사, 2000. 3. 13. 653~695.

67 “속리산 산신제의 실상과 기능,” 한국 축제의 이론과 현장, 서울 : 월인출판사, 2000. 10. 21. 977~998

68. “저승 재물 차용 설화연구한국민속학보 11,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0. 6. 30. 111~135.

69. “심청전의 배경이 된 곳,” 반교어문학 11, 서울 : 반교어문학회, 2000. 8. 31. 193~213.

70. “설화에 나타난 토정의 모습,” 설화와 역사, 서울 : 집문당, 2000. 11. 25. 567~584.

71. “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풍수의식,” 한국어문교육 10,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1. 2. 10, 27~63.

72. “토정 이지함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 33,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1. 6. 30. 299~333.

73. “한국 근대 민요에 나타난 항일의식,” 비평문학 15, 서울 : 비평문학회, 2001. 7. 10. 399~414.

74. “소설 토정비결의 설화 수용 양상,” 반교어문연구 13, 서울 : 반교어문학회, 2001. 8. 31. 407~434.

75. “금송아지 설화연구,” 한국민속학 35,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2. 6. 30. 175~207.

76. “충남 홍성 지역 보살법사의 성격과 실상, 한국무속학 4, 서울 : 한국무속학회, 2002. 6. 25, 131~168.

77. “설화의 이해와 교육,” 설화·고소설 교육론, 서울 : 의재 최운식 박사 화갑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2. 11. 30, 3~43.

78. “고소설의 이해와 교육,” 설화·고소설 교육론, 서울 : 의재 최운식 박사 화갑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2. 11. 30, 481531.

79. “전설과 지역 문화의 상관 관계,” 전설과 지역 문화, 서울 : 의재 최운식 박사 화갑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2. 11. 30, 1~25.

80. “홍성 지역 마을 공동체 신앙의 실상과 기능인문논총 6,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1. 15, 37~68.

81. “충남 지역 인물 전설의 전승 양상과 활용 방안,” 한국민속학 38,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3. 12. 30, 495~533.

82. “죽령 산신당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와 죽령 산신제,” 한국민속학 39,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4. 6. 30, 381~410.

83. “양반으로 환생하여 벼슬한 이야기의 구조와 의미,” 비교민속학 27, 서울 : 비교민속학회, 2004. 8. 30, 451~473.

84. “며느릿감 고르기 설화에 나타난 부자 며느리의 조건과 경제의힉,” 한국민속학 41,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5. 6. 30, 459~480. 

85. “김해진전의 서사 구조와 작가의식,” 청람어문교육 33, 청원 : 청람어문교육학회, 2006. 6. 30, 279~311. 

86. “설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영혼관,” 동아시아의 영혼관, 서울 : 경인문화사, 2006. 11. 30, 85~105. 

87. “신선 설화의 전승 양상과 한국인의 의식,” 한국민속학 44,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6. 12. 30, 491~532. 

88. “고전문학 연구의 성과와 의의,” 한국의 민속과 문화 11, 서울 :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6. 12. 30. 2~29. 

89. “자린고비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청람어문교육 36, 청원 : 청람어문교육학회, 2007. 12. 31, 449~483. 

90. “심청전관련 설화의 전승 양상과 성격,” 교원교육 제23권 제4,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7. 12. 30, 21~45. 

91. “시부모 길들인 며느리 설화에 나타난 시부모 길들이기의 방법과 전승 집단의 의식,” 도남학보 21,22, 서울 : 도남학회,   2008. 11. 29, 111~150. 

'저서/논문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재의 저서 목록  (0) 2011.07.10

 

이름 : 최운식,  호 : 의재(宜齋)

충남 홍성에서 태어남.

홍성고등학교, 서울교육대학교, 국제대학(현 서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수료, 문학박사 학위 받음.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국제대학교(현 서경대학교) 교수,  터키 에르지예스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객원교수, 중국 중앙민족대학 객원교수 역임

한국민속학회장, 국제어문학회장, 청람어문교육학회장 역임

충청문학상 수필부문 본상, 도남국문학상 수상

대한민국 황조근정 훈장 받음.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연락처 : cws4909@hanmail.net

전화 : 010-8711-49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