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은 우리의 조상들이 생활을 통해서 형성하고, 전승해 온 우리의 전통 문화이다. 그 속에는 우리 조상들이 우주의 생성과 기원, 인간의 삶과 죽음, 행복과 불행을 어떻게 생각하였는가 하는 우주관,인생관,종교관,가치관 등이 녹아 있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의 간강과 행복, 내세에서의 평안을 기원하는 간절한 소망이 들어 있다. 따라서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민속 하나하나는 그 나름의 의미와 기능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출생과 성장, 혼인, 죽음에 관한 의례, 세시풍속의 의미, 자주 쓰는 속담의 유래와 의미, 잊혀져가는 옛날 이야기의 의미 등 우리 민속의 의미와 기능을 수필 형식으로 서술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양인들에게 우리의 삶 속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여러 가지 민속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하고, 이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은 한국인의 삶과 죽음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다룬 것이 아니고, 우리 조상들의 소박한 인생관, 가치관이 녹아 있는 설화, 고소설, 민속을 통해서 한국인들이 지녀온 삶과 죽음에 대한 의식을 조명해 본 것이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관심이 있는 '한국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를 학술 서적 속에만 묶어둘 것이 아니라,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써서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하려는 뜻에서 계획하였다.
  이 책은 오래 전부터 지녀온 한국인의 의식의 일면을 해명해 줄 뿐 아니라, 한국인이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알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깨닫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필자는 백령도가 '심청전'의 배경이 된 곳인가를 고증하는 일을 하면서 백령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백령도에 관한 문헌을 섭렵하고, 1995년과 1996년 여름에는 백령도에 가서 백원배 교감과 함께 여러 곳을 답사하고, 각계 각층의 사람을 만나며 여러 가지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백령도의 자랑과 관광, 어제와 오늘, 전설, 민요, 민속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여 사진과 함께 실었다.
  문헌을 참고하였을 경우에는 참고문헌을 적었으며, 조사한 자료의 경우에는 조사 내용을 충실히 적고, 구연자(또는 제보자)와 채록 상황을 밝혀 이 책이 학술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도록 하였다.
  이 책이 백령도에 관해 알고 싶은 사람에게 백령도의 실상을 바로 알게 해 주는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무속과 점복은 우리 민족이 공동 생활을 하는 가운데 형성되어 생활을 통해서 전승해 온 자연적 종교 현상이다. 이 책은 이와 관련하여 김정헌, 배성진 선생과 함께 충남 홍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법사와 보살, 철학사 25명을 만나 이들의 신내림과 역리 학습 과정, 무속 제의의 종류와 절차, 점복, 부적 등에 관해 조사한 후, 조사 내용을 사진과 함께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은 홍성 지역 법사와 보살의 역할과 삶의 태도, 이들이 지역 주민에게 끼치는 영향, 주민들의 신앙적인 심성과 태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수필은 중년 이후의 문학'이라는 말이 있다. 농부는 봄과 여름에 땀흘려 일하고, 가을이 되면 오곡백과가 익어가는 것을 보며 흐뭇해 하기도 하고, 지난 날을 반성하기도 하면서, 앞으로 할 일을 생각한다. 이 말은 이러한 농부의 마음으로 쓰는 문학 작품이 수필이란 말일 것이다.
  인생의 가을을 맞은 나는 이러한 농부의 심정으로 이 책을 쓰고 엮었다. 이러한 나의 마음을 담은 책이라는 뜻에서 책 이름을 '가을 햇빛 비치는 창가에서'라 하였다.
  제1부는 일상 생활에서 보고, 듣고, 느낀 점을 담담히 적은 것이고, 제2부는 나의 주장이 약간 들어 있거나 학문적인 성격을 조금 띤 글을 모은 것이다. 제3부는 심성과 신앙에 관련되는 것을 모은 것이고, 제4부는 행보 '대동은행' 편집자의 청탁에 의해 고전 문학 작품에 나타난 경제 문제를 소재로 하여 쓴 것이다.
 


   점복 신앙을 한쪽에서는 미신이라 하여 부정적으로 보기도 하지만, 현재도 널리 행해지고 있는 민속이다. 이러한 민속을 금기시하거나 관심 영역 밖으로 밀어 버리기보다는 알아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계획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점복의 역사, 점복 및 점복자의 종류와 구성, 점복자의 입문과 수련, 점구(占具), 점복의 의미와 기능, 점복 신앙과 민간 사고, 점복 신앙의 영향, 점복의 자료 등을 다루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