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 지역 마을 공동체 신앙의 실상과 기능을 고찰한 논문으로 <<인문논총 6>>(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37~68쪽에 수록하였음.




   전설의 특성, 전설과 지역 주민의 의식, 전설과 지역 문화의 상보성 등에 관해 고찰한 논문으로, <<전설과 지역문화>>(서울 : 민속원, 2002), 1~25쪽에 수록되어 있음.






  고소설의 이해와 교육에 관해 고찰한 논문이다.
  '고소설의 이해'에서는 고소설의 성격, 작자와 독자, 유통과 이본에 관해 살펴보았다. '고소설 교육'에서는  고소설의 교육적 성격, 고소설 교육의 목적, 고소설 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설화 고소설 교육론>>(서울 : 민속원, 2002), 481~531쪽에 수록되어 있다.





  설화의 성격과 구성, 설화와 기록문학의 관계, 설화 교육의 의의와 목적 등을 고찰한 논문으로,  <<설화 고소설 교육론>>(서울 : 민속원, 2002), 3~43쪽에 수록하였음.




  충남 홍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살'과 '법사'의 성격과 실상을 고찰한 논문으로, <<한국무속학>> 제4집(서울 : 한국무속학회, 2002), 131~138쪽에 수록하였음.




'자료실 > 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소설의 이해와 교육  (0) 2011.07.18
설화의 이해와 교육  (0) 2011.07.18
금송아지 설화 연구  (0) 2011.07.18
단군신화의 교육적 성격과 의미  (0) 2011.07.18
<소설 토정비결>의 설화 수용 양상  (0) 2011.07.18
   옛날부터 전해 오는 <금송아지> 설화의 전승 양상을 살피고,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불교 설화 <금독태자(金犢太子)> 및 고소설 <금송아지전>과의 관계를 살피고, 몽골 설화와 비교한 논문임.
  <한국민속학> 제35집(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2. 6. 30)에 수록되어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