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神仙) 설화는 신선에 관한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꾸며진 이야기이다. 신선 설화는 문헌으로 전해 오기도 하고, 구전으로 전해 오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신선 설화는 구전 자료 290편과 문헌 자료 36편으로 모두 326편이다
  신선 설화는 그 내용에 따라 신선이 되기 위한 노력이나 과정 등을 이야기하는 득선담(得仙談), 신선을 만나거나 선경(仙境)을 이야기하는 신선조우담(神仙遭遇談), 선관(仙官)이나 선녀(仙女)의 혼인을 이야기하는 혼인담(婚姻談), 신선의 신이한 능력이나 도술을 이야기하는 도술담(道術談)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인이 생각하는 신선은 도를 닦아서 현실의 인간 세계를 떠나 자연과 벗하며 산다. 그리고 세속적인 상식에 구애되지 않고, 고통이나 질병도 없으며 죽지 않는다. 신선은 도술로 자기 몸이나 다른 사물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전쟁이나 재난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신선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이 불사(不死)의 생명을 향유(享有)하고, 신과 같은 권능(權能)을 얻어 초월적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믿는 의식의 체계가 신선 사상이다. 한국 설화에 나타난 신선관은 중국 설화에 나타나는 신선관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신선 설화는 이러한 신선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꾸며졌는데, 지식인과 민중들이 함께 향유하여 왔다. 이 설화에는 한국인의 죽음을 초월하고 싶은 간절한 염원, 선의 승리에 대한 믿음,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인륜도덕을 중시하는 마음, 절제와 인내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마음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 설화는 전파․전승되어 오면서 전승 집단에게 신선에 대한 의식을 확산시켰을 것이다. 그리고 권선징악적(勸善懲惡的) 심성을 기르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인륜도덕을 강조하는 기능을 하였을 것이다.

* 이 논문은 한국민속학 44,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6, 491~531쪽에 실려 있음. 




  <며느릿감 고르기 설화>는 부자가 취재(取才)하여 며느리를 얻는다는 내용이다. 며느리 취재의 과제는 쌀 서 말을 가지고 남녀종과 함께 석 달을 지내는 것이다. 이것은 남녀종과 함께 마련해 준 곡식을 먹으면서 일을 하여 돈을 벌어 식량을 사다가 먹을 수 있는 경제적인 안목과 지혜와 수완이 있는가를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이 설화는 ‘부자의 며느리 취재 시도→과제 부여→여러 응모자의 실패→한 응모자의 과제 수행→결과’의 다섯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며느리 취재에 성공한 처녀는 첫째, 자기가 처한 시대적 상황에서 돈을 벌 수 있는 지혜와 능력을 지녔다. 둘째, 아랫사람을 다를 줄 아는 사람이다. 셋째, 형편과 처지, 능력과 적성에 맞게 일을 하고 시킬 줄 아는 인물이다. 넷째, 실천력을 지닌 인물이다. 이 처녀는 아녀자가 살림을 할 때에는 절약이 제일이라는 의식을 벗어났다. 그녀는 화폐경제 시대에 맞는 상업적인 활동을 해야 살림을 일으킬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진 인물이다.
  이 설화는 전파 ․ 전승되어 오면서 민간인들에게 시대를 앞서 가는 경제적인 안목과 의식을 가지고 실천해야만 잘 살 수 있다는 의식을 일깨우는 기능을 하였을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민속학 41(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5), 459~480쪽에 실려 있다.




  우리의 설화 중에는 벼슬을 하려고 하였으나 미천(微賤)한 신분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은 사람이 양반의 아들로 다시 태어나 벼슬을 하였다는 이야기가 여러 편 전해 온다.
  이 글은 이러한 설화를 <양반으로 환생하여 벼슬한 이야기>로 이름을 붙이고, 이 설화의 전승 양상, 구조, 설화 전승 집단의 의식을 고찰한 논문이다.
  이 논문은 비교민속학 27(서울 : 비교민속학회, 2004), 451~473쪽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 있는 죽령 산신당에는 '다자구 할머니'가 뛰어난 지혜와 용기로 죽령 매바위 근처에 본거지를 두고 재물을 약탈하는 도둑떼를 물리치고, 마을과 나라를 평안하게 해 준 공으로 죽령의 산신이 되었다는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가 전해 온다. 이 산신당에서는 해마다 봄과 가을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해 산신제를 지낸다.
  이 글은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의 전승 양상을 살피고, <다자구 할머니>와 죽령 산신제의 상관성, 죽령 산신제의 실상과 기능을 고찰한 논문이다.
  이 글은 한국민속학 39(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4), 381~410쪽에 수록되어 있다.




  충남 지역에 전해 오는 인물 전설 중 많은 자료가 전해 오거나, 그 내용이 특이하여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7명의 인물 전설을 골라 이들 전설의 전승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 전설의 의미와 활용 방안을 탐색한 논문으로, <<한국민속학 38>>(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3), 495~533쪽에 수록되어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