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부터 전해 오는 <금송아지> 설화의 전승 양상을 살피고,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불교 설화 <금독태자(金犢太子)> 및 고소설 <금송아지전>과의 관계를 살피고, 몽골 설화와 비교한 논문임.
  <한국민속학> 제35집(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2. 6. 30)에 수록되어 있음.






  단군신화의 교육적 성격과 의미를 분석한 이 논문은 국어교육 79,80합병호(한국 국어교육연구회, 1992)에 발표한 논문을 손질하여 필자의 "전래동화교육의 이론과 실제"(집문당, 1998)에 수록하였는데, 이를 필요로 하는 분이 있어 여기에 싣는다. 



  이재운이 1991년에 발표하여 지금까지 널리 읽혀지고 있는 '소설 토정비결'이 옛 설화를 어떻게 수용하고 변용하여 표현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구성하였는가를 고찰한 논문임.
    <국어국문학논총, 서울 :  두명 윤병로 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1. 8. 20, 847~870쪽에 수록>




  이 논문은 1999년 7월 17일에 중국 연길에서 열린 제5회 국제문학심포지엄에 발표한 내용으로, 비평문학 제15집(서울 : 한국비평문학회, 2001. 6)에 실려 있음. 논문 목차는 다음과 같음.
    1. 머리말
    2. 항일의식의 표현 양상
        가. 개화에 따른 사회 현실의 풍자
        나. 일제치하의 세태 고발
        다. 일제에 대한 항거
        라. 투쟁의식의 고취
    3. 맺음말




  풍수설을 바탕으로 꾸면진 풍수설화는 600여 편이 되는데, 이들 설화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한국인의 풍수의식을 정리하였다. 이 논문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머리말 
  2. 명당에 대한 인식
      가. 명당과 발복,  나. 명당의 획득    다. 명당의 파손과 비보(裨補)
  3. 명당을 아는 사람
      가. 지술을 익힌 진짜 지관  나. 지술을 모르는 가짜 지관
  4. 풍수설화에 나타난 민간의식
      가. 행복 추구의 의지          나. 착하고 부지런한 사람에 대한 보상
      다. 운명과 의지의 조화        라. 현세 중심의 세계관
  5. 맺음말

  이 논문은 한국어문교육 제10호(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1), 27~63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 논문은 한국민속학 제33호(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1. 6), 299~334쪽에 실린 논문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음.
    1. 머리말
    2. 토정 설화에 나타난 민중 의식
        가. 이인(異人) 출현에 대한 기대
        나. 진정한 목민관(牧民官) 출현에 대한 기대
        다. 검소하며 절제하는 생활의 강조
        라. 운명에의 순응
    3. 토정 설화와 소설의 관게
        가. 고소설 '임진록'과의 관계
        나.  현대소설 '토정비결'과의 관계
    4. 맺음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