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12일에 성동문인협회 회원들과 충청북도 옥천에 있는 정지용문학관과 육영수 생가를 둘러본 뒤에 진천 농다리에 갔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로 재직할 때 학부의 고전문학반 학생 및 대학원생들과 자주 찾던 곳인데, 퇴직 후에 다시 찾으니 감회가 새로웠다.

 

농다리는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구산동(굴티마을) 앞 세금천(洗錦川)에 놓은 돌다리이다. 상산지(常山誌)(1825년에 정재경이 편찬한 것을 1932년에 다시 간행한 향토지)에는 이 다리가 고려 초엽 굴티 임씨의 선조인 임 장군이 별자리 28수를 응용하여 만들었다고 하였다. 1910년부터 1937년 무렵의 인문지리 현황을 담은 지리서인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농다리의 모습을 호랑이가 버티고, 용이 서린 것 같다.”고 하였다.

 

농다리는 19761220일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 이 다리는 구조적으로 징검다리와 형교(桁橋, 다리의 주체가 되는 부분이 들보로 된 다리)의 중간 형태이다. 총 길이는 94m인데, 폭은 3.6m, 두께는 1.2m, 교각과 교각 사이는 0.8m 정도 이다. 사암(砂巖) 성질의 돌을 마치 물고기 비늘처럼 안으로 차곡차곡 들여쌓기 하여 교각을 만들었다. 크기가 다른 돌을 적절히 배합해 서로 물리게 하여 쌓았는데,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빠른 유속(流速)을 견딜 수 있도록 했다. 교각의 양쪽은 유선형으로 만들어 구조적으로 흐르는 물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게 하였다. 교각부터 상판석까지 붉은 색을 띤 돌을 이용했다. 애초에 28칸이었던 교각은 유실되어 25칸만 남아 있었으나, 2008년에 원형 복원사업을 완료하여 지금은 28칸 다 있다.

 

  농다리는 마치 지네가 물을 건너가는 것 같은 모양으로 보이기도 한다. 장마가 지면 물이 다리 위로 넘어가게 되어 있어 자동으로 큰 규모의 수월교(水越橋, 장마 때면 물이 다리 위로 넘어가는 다리)가 된다. 해마다 한두 차례씩 물이 넘어갈 때에는 다리에 놓인 돌들이 덜컹거린다고 한다. 돌들이 자연스럽게 움직이지 않으면, 다리가 물살에 떠내려간다고 하니, 물 흐름의 이치를 잘 알아 만든 것이다.

 

천 년이란 긴 세월을 견뎌온 농다리에는 몇 가지 전설이 전해 온다. <농다리를 놓은 임 장군> 이야기를 보면, 고려 시대에 굴티에 사는 임 장군은 매일 아침 세금천에서 세수를 하였다. 어느 추운 겨울날, 임 장군은 한 젊은 여인이 세금천 건너편에서 이쪽으로 건너려고 하는 것을 보고, 무슨 일로 차가운 물을 건너려고 하는가 물었다. 여인은 아버지가 돌아가시어 친정으로 가는 길이라고 하였다. 장군은 여인의 지극한 효심과 딱한 처지를 생각하여 용마를 타고 돌을 날라 다리를 놓았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임 장군은 고려 때의 무신 임연(林衍)인 듯하다. 임연은 고려 때 쳐들어온 몽골군을 고향 사람들과 함께 물리쳐 대정(隊正, 고려 시대 최하위 지휘관)이 된 뒤에 벼슬이 올라 큰 권력을 잡았던 인물이다. 이 이야기서는 이 지역 사람들의 추앙을 받는 임 장군이 용마를 타고 순식간에 놓은 다리라 하여 농다리에 신비성을 부여하였다.

 

<오누이 힘내기와 농다리> 이야기를 보면, 옛날에 굴티 임씨네 집안에 힘이 센 장사(壯士) 남매가 살았다. 어느 날, 남매는 서로 목숨을 걸고 내기를 하였다. 오빠는 굽 높은 나막신을 신고, 목매기송아지를 끌고서 서울에 갔다 오고, 누이동생은 다리를 놓기로 하였다. 어머니가 보니, 딸이 치마로 돌을 날라 다리를 놓는데, 거의 마무리 단계가 되었다. 그런데 아들은 올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는 아들을 살릴 요량으로 팥죽을 쑤어 가지고 가서 딸에게 주면서 먹고 하라고 하였다. 딸이 어머니의 강권에 못 이겨 팥죽을 먹기 시작할 때 아들이 돌아왔다. 내기에 진 딸은 나머지 한 칸을 놓지 못한 채 치마에 있던 돌을 내던지고 죽었다. 여자 장사가 미처 놓지 못한 나머지 한 칸은 일반인이 놓았는데, 장마가 지면 여자 장사가 놓은 다리는 그대로 있지만, 일반인이 놓은 다리는 떠내려가곤 하였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임 장군이나 임 장군 여동생은 힘이 장사일 뿐만 아니라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인(異人)이다. 이 이야기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오뉘 힘내기> 전설을 농다리와 관련지은 것으로, 농다리 건설의 내력을 매우 흥미롭게 설명한다.

 

농다리를 보면, 한두 사람이, 짧은 기간에 놓을 수 있는 다리가 아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물의 흐름에 대한 연구를 깊이 하면서 축적한 기술로,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해서 놓은, 규모가 큰 다리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전설이 전해 오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이것은 농다리를 신이(神異)한 인물과 관련지어 신비스럽게 이야기함으로써 농다리의 유용성과 우수성을 강조하려는 민중의식 때문일 것이다.

 

농다리 옆에는 힘이 빠져 죽은 용마에서 굴러 떨어진 돌이 바닥에 박혔다는 용바위(쌍바위)’, 어머니의 계략으로 내기에서 진 임 장군 여동생이 내던졌다고 하는 돌이 있다. 살고개에는 임 장군과 용마의 발자국인 장수발자국말발자국이 있다. 이러한 증거물들은 위 전설의 진실성과 사실성을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오래 전에 만난 노인의 말에 따르면, 농다리는 능구렁이 울음소리 비슷한 소리를 내어 운 적이 있는데, 그 해에 625 한국전쟁이 일어났다고 한다. , 예로부터 장마에 농다리 상판이 뜨면 나라에 큰 재앙이 일어나고, 훌륭한 인물이 죽거나 기상이변이 일어난다는 말이 전해 온다. 농다리는 두 번 상판이 움직였는데, 1894년 동학혁명이 일어나던 해와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하던 해였다고 한다. 이것은 인근 주민들이 천 년을 지켜온 농다리를 국가의 중대사를 미리 알려주는 신비스런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말해 준다.

 

농다리를 28칸으로 세운 것은 하늘의 별자리 28수를 응용한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천체의 움직임을 깊이 연구하고, 이를 생활에 적용하는 선조들의 동양철학 사상에 의한 것이다. 농다리는 석회를 바르지 않고 자연석을 그대로 쌓아 만들었는데도 28칸 중 25칸이 오랫동안 유실되지 않고 유지되어 왔다. 이것은 농다리의 축조 기술이 매우 뛰어났음을 말해 준다. 토목공학적인 측면에서도 그 유례(類例)가 드문 특이한 돌다리라 하겠다. 이처럼 농다리에는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면서 이를 극복하고 생활에 편리하도록 이용하려고 하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스며 있다.

 

  농다리를 건넌 뒤에 오르는 나지막한 고갯길은 초평저수지 둘레길과 이어진다. 이 길의 이름은 초평저수지농다리의 머리글자를 따서 지은 초롱길이다. 국토해양부에서는 우리나라 도로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2006년에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을 발표하였는데, 17번째에 ‘1000년 세월의 농다리가 들어 있다. 아름다운 길은 3개월간 인터넷 공모를 통해 신청을 받은 뒤에, 도로예술사진 등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미관역사성기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선정한 것이다. 여기에 농다리가 선정된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하겠다.

 

  농다리를 천천히 건너며 보니, 많은 양의 물이 교각에 부딪혀 소리를 내며 힘차게 흐른다. 이 다리를 왕래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애환(哀歡)을 지켜보면서 1,000여 년 동안 말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농다리가 신비스럽게 느껴진다. 농다리를 건너 나지막한 고개를 넘으니, 넓은 가슴에 초록빛 물을 가득 담은 초평저수지가 눈앞에 펼쳐진다. 나는 저수지 둘레의 산자락을 잘 다듬어 만든 초롱길을 걸으며, 5월의 신록과 초록빛 물이 조화를 이룬 멋진 경관을 감상하였다. 한참 걸으니, 마음이 편안해지고, 머리가 맑아지는 것 같다. 이런 길을 걸을 기회를 마련해 준 성동문인협회 임원들께 감사한다. <성동문학 16(서울:성동문인협회, 2016)에 수록> 



 

'자료실 >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 깊은 나무  (0) 2017.11.28
개망초의 누명  (0) 2017.11.28
한국전쟁 참전용사와 함께 부른 아리랑  (4) 2012.06.21
세계 최초의 교회를 찾아서  (0) 2011.07.21
이슬람에 대한 오해  (0) 2011.07.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