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부에서는 고소설의 성격과 명칭, 조선 시대의 소설관, 고소설의 구성 요소, 고소설의 작자와 독자, 고소설의 유통과 이본, 고소설의 형성 및 전개 양상,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 및 선호 관계 등을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김씨열행록, 김학공전, 금방울전, 삼생록, 삼자원종기, 삼사횡입황천기, 옥단춘전, 심청전의 배경이 된 곳, 서사작품에 나타나는 남장신부(男裝新婦) 모티프의 전개 양상, 서사 작품에 나타나는 신발의 성격과 의미 등을 고찰하였다.
'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삶과 문화(보고사, 2006) (0) | 2011.07.11 |
---|---|
한국 구전설화집 10--층님 예산편(공편저, 민속원, 2005) (0) | 2011.07.11 |
전설과 지역문화(공저, 민속원, 2002) (0) | 2011.07.11 |
설화, 고소설 교육론(공저, 민속원, 2002) (0) | 2011.07.11 |
다시 떠나는 이야기 여행(종문화사, 2007) (0) | 201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