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6일 금요일에 교일산우회 회원들과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장자호수공원에 갔다. 금년 810일에 지하철 8호선이 암사역에서 남양주시 별내까지 연장 개통되었으므로 장자호수역까지 편히 갈 수 있었다. 전동차에서 내려 보니,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적소에 설치되어 있어 이용하기 편하고, 역사 안이 넓고 깨끗하여 기분이 좋았다. 대합실에서 만난 회원들은 삼복더위를 피하기 위해 한 달 쉬었다가 만나는 첫 모임이어서 모두 반가워하였다.

   장자호수공원역 6번 출입구로 나와 200m쯤 걸으니 공원야외공연장이다. 야외공연장 한쪽에 길게 친 천막 안에서는 내일 열리는 장자못축제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바쁘게 움직인다. 바로 이어지는 잔디밭에 장자못의 유래를 적은 큰 비석이 서 있다. 비석에는 장자못 전설이 적혀 있어 이곳을 장자호수공원이라고 하는 연유를 적어 놓았다.

   비석에 적혀 있는 전설의 내용은 다른 여러 지방에서 전해 오는 이야기와 별 차이가 없다. 나는 회원들에게 장자못 전설의 줄거리를 간단히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 오는 지역의 호수와 바위 이름을 열거했다. 또 비슷한 이야기가 성경에 기록되어 있음도 말하였다. 그런 뒤에 산책길을 걸으며 이 전설의 의미를 정리해 보았다.

   옛날 이곳에 욕심 많고 인색한 장자(長者. 부자)가 살았다. 어느 날 이른 아침 장자가 외양간을 치우고 있을 때 스님이 와서 시주를 청하였다. 그는 스님에게 땀 흘려 일하지 않고 시주를 받으러 다닌다고 꾸짖으며 쇠똥을 퍼서 바랑에 넣어 주었다. 아침밥을 지으려고 쌀을 가지고 나오던 며느리가 이 모습을 보고, 자기와 아들의 아침밥 지을 쌀을 시주하며 시아버지의 잘못을 용서해 달라고 하였다.

   스님은 며느리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한 뒤에 말했다. “오늘 정오가 되기 전에 저 산 너머 친정으로 가시오. 누구에게도 말하지 말고, 뒤에서 어떤 소리가 나더라도 뒤를 돌아보지 마시오.” 며느리가 스님의 말대로 아기를 업고 고개를 올라갈 때 장대비가 쏟아지며 천둥 번개와 함께 벼락이 치는 소리가 들렸다. 자기도 모르게 뒤를 돌아보니 집이 폭삭 꺼져 가라앉더니 큰 연못이 되었다. 그는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금기를 깨뜨렸으므로 바위가 되었다.

   권선징악적(勸善懲惡的)인 의미를 지닌 이 이야기는 여러 곳에 있는 연못과 바위의 유래를 설명하는 이야기로 전해 온다. 이 전설이 전해 오는 곳 중 널리 알려진 곳으로는 강원도 태백시의 황지고성의 송지호와 화진포호강릉의 경포호, 충북 제천의 의림지, 충남 논산의 장자못공주의 용못 등이 있다.

   이와 비교되는 이야기가 《구약 성경》 「창세기에도 전해 온다. 하나님은 소돔과 고모라 주민들의 악행을 보다 못해 이곳을 멸망시키려고 한다. 그래서 두 천사를 보내어 롯의 착한 마음과 신앙심을 확인한 뒤에 그에게 가족을 데리고 성을 떠나라고 하면서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한다. 두 성이 유황불로 불탈 때 롯은 두 딸과 함께 소알성으로 도피하여 살았지만, 롯의 아내는 뒤를 돌아보았으므로 소금기둥이 되고 말았다.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장자못 이야기는 초월적인 힘을 지닌 분이 악인을 징벌한다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부분적인 면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앞 이야기에서는 초월적인 존재가 하나님이고, 주민의 악함을 확인하고 벌을 내리는 것은 사람의 모습으로 온 두 천사이다. 뒤 이야기에서는 초월적인 존재가 부처님이고, 그 뜻을 받들어 벌을 내리는 것은 스님이다. 이런 차이는 앞 이야기가 이스라엘 민족의 유일신 신앙을 바탕으로 형성되었고, 뒤 이야기는 불교를 기저로 한 한국인의 신앙심을 바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리라.

   악인을 징벌하는 전설을 배경으로 생긴 장자호수 주변에 생태공원을 조성하여 시민들이 공원의 유래를 생각하며 체력을 단련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 것은 아주 잘한 일이라 생각한다. 공연장 안쪽으로 들어가니 호수를 끼고 길게 이어지는 산책로가 있고, 공원 외곽에도 산책로가 있어 사람과 자전거가 통행하도록 하였다. 산책로를 걷는 동안 좌우로 이어지는 잘 가꾼 꽃과 잔디, 정원수는 마음을 상쾌하게 해 주었다. 조금 더 가니 생태체험관이 있었지만, 계단을 올라가야 하므로 들어가지 않았다.

   조금 더 가니 통나무를 여러 간격으로 세워 놓은 뱃살통과 테스트장이 있다. 위쪽에 홀쭉(17cm), 날씬(20cm), 표준(23cm), 통통(25cm), 마음만은 홀쭉(27cm), 이러시면 안 됩니다(29cm), 당신은 외계인(32cm)’ 등이 씌어 있다. 이 말들이 퍽 애교스럽게 느껴진다. 자기 몸에 맞는 공간을 옆으로 통과해 보면서 자기의 건강과 몸매를 측정해 봄직하다.

   산책로를 걷다가 둑 아래로 난 데크길로 내려가니 가까워진 호수 수면에 물오리들이 한가로이 놀고 있다. 호수 곳곳에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가 서 있는 것을 보니, 물고기를 위한 배려가 고맙게 느껴진다. 호수 가운데에 있는 작은 섬에는 버드나무가 서 있다. 길게 뻗은 호수 양편에 조성해 놓은 황톳길에서는 시민들이 맨발로 걷고 있었다. 장미정원, 어린이 놀이터, 숲속놀이터, 농구장, 반려견 놀이터 등 다양한 시설들을 바라보며 2시간 가까이 걸었다. 이슬비가 오락가락하였지만, 덥지 않아 산책하기에 좋았다.

    잔디밭 가운데에 원형으로 지붕을 덮은 긴 벤치가 여럿 있다. 우리는 그 중 한곳에 앉아 각자 준비해 온 커피, 과자, 바나나, 떡 등의 간식을 나누어 먹으며 가볍고 즐거운 대화를 하였다. 길게 뻗은 호수 양편에 잘 다듬고 가꾼 잔디와 수목 사이로 난 산책길을 걸은 뒤에 환담을 하노라니 한 달 내내 계속되던 폭염을 견뎌내느라고 힘들었던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 듯하다. 한 달 동안 쉬었다가 다시 모인 우리 모임의 힘찬 출발을 자축하며 회원 모두의 건강을 기원한다. (2024. 09. 08.)

 

'자료실 >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의 집 방문  (1) 2024.12.02
밤 줍기  (3) 2024.09.18
《은혜의 샘물》 출간  (0) 2024.08.12
매미의 오덕  (0) 2024.08.12
수덕사 관음암과 버선꽃  (0) 2024.06.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