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로 알고 쓰기(2)

‘할렐루야’와 ‘아멘’은 필요한 때에만 써야

 

  어느 장로님은 친구를 만나거나 통화할 때 큰소리로 할렐루야!’ 하고 인사한다. 어느 목사님은 새로 나온 교우를 소개할 때 이름을 말하며 일어서게 한 뒤에 환영하는 뜻에서 주보를 들고 큰 소리고 할렐루야를 외치게 한다. 또 부흥회 때 강사 목사님을 소개하면서 환영의 뜻으로 할렐루야!’를 외치게 한다. 이처럼 일부 기독교인들은 '할렐루야'를 인사말이나 구호처럼 쓰고 있다.

  

  할렐루야(Hallellujah)‘Hallellu’찬미하다의 명령형이고, ‘jah’야훼(yahweh)’의 준말로 여호와를 의미한다고 한다. 그러면 할렐루야여호와를 찬양하라의 뜻이 된다. 시편에서 많이 쓴 할렐루야는 문맥으로 보아 여호와를 찬양하라는 명령형의 말이다. 할렐루야는 하나님께 하는 찬양이며 인사이지, 사람 사이에 하는 인사가 아니다. 그러므로 오랜만에 만난 교우끼리의 인사말로 하는 할렐루야, 새로 나온 교우를 소개하거나 강사 목사님을 소개할 때 쓰는 할렐루야!’는 적절하지 않다. 굳이 이스라엘말로 인사하려면 샬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따라서 인사말로 하는 할렐루야는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환영합니다로 바꿔 쓰는 것이 좋을 것이다. 어느 목사님은 말씀을 선포하면서 방금 한 말을 강조하는 뜻에서 할렐루야라고 말하거나, 그 내용을 확인하는 뜻에서 교우들에게 할렐루야로 화답하게 한다. ‘할렐루야를 말한 내용을 강조하거나 확인하는 구호(口號)’처럼 쓰는 것 역시 적절한 표현이라 할 수 없다.

 

  몇 년 전에 장로들이 교육을 받는 자리에 갔을 때의 일이다. 강사 목사님이 출석을 확인하려고 이름을 부르는데 아멘하고 대답하는 사람이 있었다. 쉬는 시간에 이를 지적하였더니 곱지 않은 반응이 돌아왔다교우 중에는 예배 시간에 말씀을 들으면서 수시로 아멘을 크게 외쳐 둘레 사람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분도 있다. 목사님들 중에는 말씀을 선포하시는 중에 필요 이상으로 아멘을 외치게 하고, ‘아멘소리가 적으면 마치 교우들의 듣는 태도가 나쁜 것처럼 꾸중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느 부흥회에서 강사 목사님이 말씀을 선포하시는 중에 어느 분이 쌀장사를 해 번 돈을 헌금하여 교회를 지었다.’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하셨다. 목사님은 그 분이 쌀을 사려고 농촌에 가면 쌀값이 내리고, 그 쌀을 팔려고 하면 값이 올라 많은 돈을 벌었다고 하였다. 그 때 목사님은 흰 손수건을 꺼내들고 쌀값이 올랐습니다’, ‘쌀값이 내렸습니다를 여러 번 되풀이하면서 그 때마다 아멘하고 외치게 하였다.

 

   아멘(amen)확실하다’, ‘확실히’, ‘진실한’, ‘진실’, ‘참으로’, ‘참으로 그렇게 되기 바랍니다.’의 뜻을 가진 말로 알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기도나 찬송 또는 설교 끝에 그 내용에 동의하거나 그것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라고 적혀 있다. 그러므로 출석을 부를 때 대신 아멘하거나, 설교 내용의 확인 또는 주의 집중을 위해 아멘하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목사님이나 회중을 대표하는 분의 기도, 목사님께서 선포하시는 말씀이 감동적이면 교우들의 입에서는 저절로 아멘소리가 흘러나올 것이다.  ‘할렐루야아멘은 필요한 때에 적절히 써야 은혜스럽다.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큰 소리로 할렐루야아멘을 외치는 것은 바른 표현이 아닐 뿐더러 믿지 않는 사람이나 초신자들에게 저항감을 줄 수도 있음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이송관김기창, 교회에서 쓰는 말 바로 알고 바로 쓰자, 서울 : 예찬사, 2000.

                 리의도,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쓰려면 꼭 알아야 할 것들, 서울 : 설필, 1997.

 

                                                     <기독교타임즈 제443, 2006. 9. 23.>에 수록한 글임.

   우리말 바로 알고 쓰기(2)  

              ‘형제’, ‘자매’의 잘못 사용

 

  어느 교회의 주보를 보니, 교회 소식 난에 00 형제 군 입대라고 적혀 있었다. 이것을 본 나는 형제면 나이 차이가 있을 터인데, 어떻게 되어서 함께 입대하게 되었을까 궁금하였다. 그러다가 함께 입대하는 형제는 쌍둥이거나 아니면 형이 입영 연기를 받았다가 동생과 함께 입대하게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알고 보니, 군에 입대하는 청년은 한 사람이었다.

 

  어느 주일 예배의 광고 시간에 목사님께서 말씀하셨다. 00 자매님이 우리 교회에 새로 나오셨습니다. 잠깐 일어나시지요.” 이 말을 들은 나는 언니와 동생 두 사람이 일어설 것이라고 생각하며 뒤를 돌아보았는데, 자리에서 일어선 사람은 한 사람 뿐이었다. 형제자매는 우리가 흔히 쓰는 쉬운 말이다. 그런데 의미의 전달과 수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요즈음 유행하는 말로 코드(code)가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어사전을 보면, ‘형제(兄弟)’란 말은 형과 아우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말은 한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형과 아우 두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복수의 개념을 지니고 있다. ‘자매(姉妹)’는 여자끼리의 언니와 아우를 가리키는 말로, 역시 복수의 개념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교회에서는 교우 한 사람을 가리키면서도 남자일 경우는 형제, 여자일 경우에는 자매란 말을 많이 쓴다. 기독교인은 모두 주님의 사랑 안에서 형제요 자매라 할 수 있으므로, 교우들의 관계를 말할 때 형제 또는 자매라고 하는 것은 괜찮다. 그러나 남자 교우 또는 여자 교우 한 명을 형제 또는 자매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교회에서 형제와 자매를 잘못 쓰게 된 원인은 유럽이나 미국에서 우리나라에 온 선교사들의 영향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선교 초기에 한국에 온 선교사들은 교우들의 관계를 말할 때나 남자 또는 여자 교우 한 명을 가리킬 때에 브라더(brother)’시스터(sister)’로 표현하였다.

 

  ‘brother’를 영영사전에서 찾아보면, ‘one of the sons of the same parents(같은 부모의 아들들 가운데 한 사람)’ 또는 ‘one of the sons of only the same mother or father(어머니 또는 아버지가 같은 아들들 중의 하나)’로 풀이되어 있다. ‘sister'’brother'와 성별만 다를 뿐 같은 뜻의 말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어의 ‘brother’‘sister’ 우리말의 형제자매처럼 형(언니)과 아우를 가리키는 복수 개념의 말이 아니다. 그런데 ‘brother’‘sister’형제자매로 번역하여 쓰면서, 두 나라 말의 차이점을 망각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앞에 적은 ‘000 형제’, ‘000 자매는 연령을 고려하여 ‘000 (, )’ 또는 ‘000 (, )이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 교회에서 직분을 맡은 사람일 경우에는 직분에 맞는 칭호를 붙이는 것이 좋겠다. 청년회 예배 중에 ‘000 형제(자매)가 기도해 주시겠습니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름 뒤에 회원이나 ()’, ‘()’을 붙여 부르는 것이 좋겠다.

<참고문헌> 이송관김기창, 교회에서 쓰는 말 바로 알고 바로 쓰자, 서울 : 예찬사, 2000.

                 리의도,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쓰려면 꼭 알아야 할 것들, 서울 : 설필, 1997.

<기독교타임즈 제442, 2006. 9. 16.> 에 수록한 글임.

* 기독교인들이 교회에서 잘못 쓰는 말이 여럿 있다. 이를 바로잡으려는 뜻에서 <기독교타임즈>에 10회에 걸쳐 실었던 글을 옮겨 놓았다.

 

우리말 바로 알고 쓰기(1)  

     ‘당신’, ‘축복’은 하나님께서 섭섭해 하실 말

 

  얼마 전의 일이다. 주일 11시 예배 시간에 내가 잘 아는 목사님께서 축복기도를 하시는 중에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 하나님,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00교회 성도들을 축복하여 주시옵소서.” 이런 기도를 들은 300여 명의 예배 참석자들은 모두 목사님의 기도를 감사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며 아멘으로 화답하였다. 나 역시도 그랬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나의 종인 네가 정성으로 기도하니 들어주기는 하겠지만, 그렇게 밖에는 표현을 못하니?’ 하고 섭섭해 하셨을 것이다. 하나님께서 왜 섭섭해 하셨을까?

 

  <표준 국어대사전>에서 당신이란 말을 찾아보면, ‘듣는 이를 가리키는 2인칭 대명사.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2인칭 대명사. 맞서 싸울 때 상대편을 낮잡아 이르는 2인칭 대명사. 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을 아주 높여 이르는 말이라고 설명하였다. ①~③2인칭으로, 아주 높임의 뜻이 없고, 그저 하오체의 말투에서 쓰는 경우이다. 우리가 기도할 때 부르는 하나님은 내 기도를 들어주실 대상으로, 인칭을 따진다면 2인칭이다. 그러므로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예사높임의 뜻을 가진 당신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는 아주높임의 뜻이 있으나, 3인칭에 주로 쓴다. “할아버지께서는 생전에 당신의 장서를 소중히 다루셨다.”와 같은 경우에 쓴다. 우리가 기도할 때 하나님은 기도를 들어주시는 분이고, 대화의 상대이므로 3인칭이 아니다. 그러므로 하나님, 당신께서 사랑하시는당신하나님께서로 써야 한다.

 

  축복(祝福)행복을 빎’, ‘신의 은혜를 빎의 뜻을 지닌 명사인데, 뒤에 하다가 붙으면 동사가 된다. 한자어인 축복의 한자는 빌 축()’ 자와 복 복()’ 자로, 복을 빈다는 말이다. 복을 빌 때 복을 내려달라고 비는 것은 사람이고, 복을 내려주시는 분은 하나님이다. 복을 내려주시는 하나님께 복을 빌어달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축복하여 주시옵소서복을 내려’로 고쳐 써야 한다. 개역개정판 성경 《창세기》 123절에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라고 되어 있는 것은 좋은 참고가 된다.

 

  처음에 인용한 축복기도를 해주신 목사님은 외국에 가서 여러 해 신학을 연구하고 돌아와 신학대학교에서 강의도 하고, 목회활동도 하시는 분이다. 이 목사님의 언어 습관은 어려서부터 입에 익은 것이다. 지금도 여러 목사님이나 장로님, 교회학교 교사, 많은 신도들이 이런 말을 습관적으로 쓰고 있는 실정이다. 기도할 때 말을 다듬어 하지 못하고, 하나님께서 섭섭해 하실 표현을 쓰면서 그 기도에 응답해 달라고 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송관김기창, 교회에서 쓰는 말 바로 알고 바로 쓰자, 서울 : 예찬사, 2000.   리의도,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쓰려면 꼭 알아야 할 것들, 서울 : 설필, 1997.

<기독교타임즈 제441호, 2006. 9. 9.> 에 수록한 글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