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재의 논문 목록
1. “무왕(武王) 설화의 정착 과정,” 석주선 교수 화갑기념 민속학논총,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71, 12. 25, 73~82쪽.
2. “지하국 설화의 형태,” 箕軒 孫洛範 선생 회갑기념논문집, 서울 :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1972. 12. 25, 473~483쪽.
3. “쫓겨난 여인 발복 설화고,” 한국민속학 제6집, 서울 : 민속학회, 1973. 10. 5, 51~69쪽.
4. “재생(再生) 설화의 재생 양식,” 성대문학 19,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76. 52~71쪽.
5. “재생(再生) 설화에 나타난 영혼과 내세,” 논총 인간과 미래 제3집, 서울 : 중앙신학교 출판부, 1976, 2. 10, 185~203쪽.
6. “재생(再生) 설화의 소설화(小說化),” 서원(栖園) 방용구(龐溶九) 박사 화갑기념논총,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75. 2. 28, 169~186쪽.
7. “「김학공전」 연구,” 국어국문학 제74집, 서울 : 국어국문학회, 1977. 4. 30, 71~89쪽.
8. “이규보(李奎報)의 시론(詩論)―백운소설(白雲小說)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제2집, 서울 : 한국한문학연구회, 1977. 12. 30, 105~123쪽.
9. “어우야담(於于野談)에 나타난 어우당(於于堂)의 설화의식,” 한국민속학 제10집, 서울 : 민속학회, 1977. 12. 30, 137~148쪽.
10. “「옥단춘전」 소고,” 국제대학 논문집, 제6집, 서울 :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8. 4. 30, 79~90쪽.
11. “「삼설기」의 설화적 배경과 한문단편과의 관계―<삼사횡입황천기>를 중심으로―,” 국제대학 논문집 제7집, 서울 :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9. 4. 30, 23~36쪽.
12. “설화교육 서설,” 한국어교육 제1집, 서울 : 한국 국어과 교육 개발연구회, 1980. 4. 15, 56~83쪽.
13. “고시조에 나타난 남녀의 애정,” 국제대학 논문집 제8집, 서울 :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80. 6. 30, 5~30쪽.
14. “「심청전」 이본고(Ⅰ)―방각본 심청전의 서지 및 특색과 계열―,” 도남학보 제5집, 서울 : 도남학회, 1982. 4. 12, 7~26쪽.
15. “심청전 이본고(Ⅱ)―필사본 심청전의 서지 및 특색과 계열―,” 인문과학연구 제1집, 서울 : 국제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982. 6. 15, 33~53쪽.
16. “심청전 이본고(Ⅲ) -활자본 심청전의 서지 및 특색과 계열-,” 국제대학 논문집 제10집, 서울 : 국제대학 출판부, 1982. 9 5, 99~126쪽.
17. “효행 설화에 나타난 전승집단의 의식,” 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술, 서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4. 2. 20, 305~343쪽.
18. “「다시 찾은 옥새」설화의 구조와 의미,” 石溪 李明九 박사 회갑기념논총, 서울 : 同 간행위원회, 1984. 10. 25, 53~63쪽.
19. “「금방울전」연구,” 국제대학 논문집 제12집, 서울 : 국제대학 출판부, 1984. 10. 20, 5~57쪽.
20. “고소설의 이본(異本) 연구,” 국제대학 논문집 제13집, 서울 : 국제대학 출판부, 1985. 12. 30, 7~35쪽.
21. “계모 설화의 연구,” 한국의 민속 제3집,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86. 4. 20, 1~34쪽.
22. “문학교육론 서설,” 국제어문 6·7합집, 서울 : 국제어문학연구회, 1986. 6. 25, 385~424쪽.
23. “전래동화 교육론(Ⅰ)―전래동화의 성격과 특성―”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서울 : 배영사, 1986. 11. 10, 394~431쪽.
24. “설화에 나타난 충(忠)의 양상,” 예술계 제3권 7호(통권 제14호),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6. 7. 1, 148~159쪽.
25. “민담에 나타난 한국인상(韓國人像),” 예술계 제3권 12호(통권 제19호),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6. 12. 1, 102~112쪽.
26. “설화에 나타난 삶의 슬기―민간의식 속에 살아 있는 토끼를 중심으로―,” 예술계 제4권 1호(통권 제20호),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7. 1. 1, 130~141쪽.
27. “한국인의 의식 속의 호랑이,” 예술계 제4권 2호(통권 제21호), 서울 :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1987. 2. 1, 198~209쪽.
28. “「소가 된 게으름쟁이」설화의 구조와 의미,” 청람문화 창간호,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1987. 2. 25, 112~120쪽.
29 “중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교원교육 제3권 1호,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1987. 12. 30, 41~53쪽.
30. “나무꾼과 선녀설화의 고찰,” 청람어문학 제1집, 청원 : 청람어문학회, 1988. 2. 25, 59~85쪽.
31. “민담에 나타난 변신(變身)의 양식과 의미,” 문학과 비평 제2권 1호(통권 제5호), 서울 : 문학과 비평사, 1988. 3. 1, 236~246쪽.
32. “전설의 허구와 사실과의 관계―단맥형(斷脈型) 「판목 전설」을 중심으로-,” 야천 이병호 박사회갑기념논문집,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89. 8. 15, 302~315.
33. “「김씨열행록」 연구,” 국제어문 제11집, 서울 : 국제 어문학 연구회, 1990. 7. 30, 47~76쪽.
34. “설화에 나타난 말[馬]의 성격과 전승집단의 의식,” 석천 정우상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서울 : 교학사, 1990. 9. 1, 627~636쪽.
35. “「삼자원종기(三子願從記)」의 설화적 배경과 신선관,” 한국어문교육 제1집,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990. 10. 1, 97~109쪽.
36. “서사작품에 나타나는 남장신부(男裝新婦) 모티프의 성격과 의미,” 벽사 이우성 선생 정년퇴직기념 국어국문학논총, 서울 : 여강출판사, 1990. 11. 15, 1047~1064쪽.
37. “「심청가」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 서울 : 한글학회, 1990. 12. 30, 35~50쪽.
38. “설화와 기록문학의 관계,” 계봉 임만영 교수 화갑기념논문집,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91. 6. 15, 603~619쪽.
39. “설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영혼관과 내세관,” 한승호 목사 고희기념논문집, 서울 : 동 간행위원회, 1991. 7. 20, 37~60쪽.
40. “설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의식,” 국제어문 12·13합집, 서울 : 국제어문학연구회, 1991. 8. 31, 263~287쪽.
41. “「삼생록」의 구조와 의미,” 대동문화연구 제26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1. 12. 30, 79~96쪽.
42. “전래동화의 성격과 교육적 의미,” 국어과 교육학의 이론과 방법 연구, 서울 : 교학사, 1992. 6. 26, 412~419쪽.
43. “단군신화의 교육적 성격과 의미,” 국어교육 제79·80호, 서울, 한국 국어교육연구회, 1992. 12. 25, 369~395쪽.
44. “옥단춘전,” 황패강 교수 정년퇴직기념논총 고전소설연구, 서울 : 일지사, 1993. 4. 10, 480~491쪽.
45. “단군신화 교육의 현황과 지도 방향,” 청하 성기조 선생 화갑기념 논문집, 신원문화사, 1993. 6. 1, 1303~1321쪽.
46. “서사작품에 나타나는 ‘신발’의 성격과 의미,” 한민족 제4집, 서울 : 교문사, 1993. 6. 25, 5~27쪽.
47.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 및 선후 관계,” 소재영 교수 회갑기념 논총 고소설사의 제문제, 서울 : 집문당, 1993. 11. 1, 767~786쪽.
48. “조선 시대의 소설관,” 한국어문교육 제3집.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993. 12. 20, 158~197쪽.
49. “한국 민담의 연구,” 한국민속연구사, 서울 : 지식산업사, 1994. 8. 30, 147~159쪽.
50. “단군신화의 문헌 수록 양상과 서사문학적 성격,” 경산 사재동 박사 화갑기념논총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대전 : 중앙문화사, 1995. 5. 20, 437~452쪽.
51. “점복 신앙(占卜信仰)의 의미와 원리,” 국제어문 제16집, 서울 : 국제 어문학 연구회, 1995. 5. 10, 363~372쪽.
52. “백령도 지역의 ‘심청 전설’ 연구,” 한국민속학보 7, 서울 : 한국민속학회, 1996. 12. 30, 467~519쪽.
53. “도미 설화의 전승 양상,” 고문화 49, 서울 : 한국 대학박물관협회, 1996. 12. 31, 151~170쪽.
54. “김태곤의 문학 연구 성과와 의의,” 민속문학과 전통문화, 서울 : 박이정, 1997. 6. 30. 37~50쪽.
55. “「심청전」에 나타난 순환과 인신공희의 의미,” 한국문화의 원본사고, 서울 : 민속원, 1997. 7. 4, 196~218쪽.
56. “문헌설화에서의 성(性)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의 민속과 성, 서울 : 지식산업사, 1997. 10. 10, 7~42쪽.
57. “「온달 설화」의 전승 양상,” 청람어문학 20, 청원 : 청람어문학회, 1998. 1. 13. 59~75쪽.
58. “심청 전설의 변이 양상과 그 원인” 개암 조규일 박사 화갑기념논총 국어국문학논총, 서울 : 박이정, 1998. 2. 16. 467~479쪽.
59. “설화 조사·연구의 방법과 성과,” 설화문학연구(상), 서울 :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8. 6. 28. 325~349쪽.
60. “심청전의 구조와 의미,” 고전작가 작품의 이해, 서울 : 박이정, 1998. 9. 20. 365~378쪽.
61. “제6차 교육과정기 각급 학교 교과서에서의 단군신화 수용 실태,” 육헌 한상수 박사 화갑기념논총, 대전 : 동 간행위원회, 1998. 12. 17. 545~556쪽.
62. “설화에 나타난 박문수의 인간상과 민중의 의식,” 청람어문학 21, 청원 : 청람어문학회, 1999. 3. 31. 43~72쪽.
63. “「오누이 성 쌓기 내기 전설」의 의미와 기능-홍성 지역 석성산성과 학성산성, 복신굴, 상여바위 전설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과 비교문화, 서울 : 민속원, 1999. 11. 20. 105~127쪽.
64. “인신공희(人身供犧)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보 제10호, 서울 : 한국민속학회, 1999. 12. 30. 167~207쪽.
65. “효행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 한국의 예절 제1권, 서울 : 예절학회, 1999. 12. 15. 35~47쪽.
66. “「심청 전설」과 「심청전」의 관계,” 고소설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지향, 서울 : 보고사, 2000. 3. 13. 653~695쪽.
67 “속리산 산신제의 실상과 기능,” 한국 축제의 이론과 현장, 서울 : 월인출판사, 2000. 10. 21. 977~998쪽.
68. “「저승 재물 차용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보 11,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0. 6. 30. 111~135쪽.
69. “「심청전」의 배경이 된 곳,” 반교어문학 11, 서울 : 반교어문학회, 2000. 8. 31. 193~213쪽.
70. “설화에 나타난 토정의 모습,” 설화와 역사, 서울 : 집문당, 2000. 11. 25. 567~584쪽.
71. “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풍수의식,” 한국어문교육 10집,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1. 2. 10, 27~63쪽.
72. “토정 이지함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 33,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1. 6. 30. 299~333쪽.
73. “한국 근대 민요에 나타난 항일의식,” 비평문학 15, 서울 : 비평문학회, 2001. 7. 10. 399~414쪽.
74. “「소설 토정비결」의 설화 수용 양상,” 반교어문연구 13, 서울 : 반교어문학회, 2001. 8. 31. 407~434쪽.
75. “「금송아지 설화」 연구,” 한국민속학 35,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2. 6. 30. 175~207쪽.
76. “충남 홍성 지역 ‘보살’과 ‘법사’의 성격과 실상, 한국무속학 4, 서울 : 한국무속학회, 2002. 6. 25, 131~168쪽.
77. “설화의 이해와 교육,” 설화·고소설 교육론, 서울 : 의재 최운식 박사 화갑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2. 11. 30, 3~43쪽.
78. “고소설의 이해와 교육,” 설화·고소설 교육론, 서울 : 의재 최운식 박사 화갑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2. 11. 30, 481~531쪽.
79. “전설과 지역 문화의 상관 관계,” 전설과 지역 문화, 서울 : 의재 최운식 박사 화갑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02. 11. 30, 1~25쪽.
80. “홍성 지역 마을 공동체 신앙의 실상과 기능” 인문논총 6,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1. 15, 37~68쪽.
81. “충남 지역 인물 전설의 전승 양상과 활용 방안,” 한국민속학 38,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3. 12. 30, 495~533쪽.
82. “죽령 산신당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와 죽령 산신제,” 한국민속학 39,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4. 6. 30, 381~410쪽.
83. “「양반으로 환생하여 벼슬한 이야기」의 구조와 의미,” 비교민속학 27, 서울 : 비교민속학회, 2004. 8. 30, 451~473쪽.
84. “「며느릿감 고르기 설화」에 나타난 부자 며느리의 조건과 경제의힉,” 한국민속학 41,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5. 6. 30, 459~480쪽.
85. “「김해진전」의 서사 구조와 작가의식,” 청람어문교육 33, 청원 : 청람어문교육학회, 2006. 6. 30, 279~311쪽.
86. “설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영혼관,” 동아시아의 영혼관, 서울 : 경인문화사, 2006. 11. 30, 85~105쪽.
87. “신선 설화의 전승 양상과 한국인의 의식,” 한국민속학 44, 서울 : 한국민속학회, 2006. 12. 30, 491~532쪽.
88. “고전문학 연구의 성과와 의의,” 한국의 민속과 문화 11, 서울 :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6. 12. 30. 2~29쪽.
89. “자린고비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청람어문교육 36, 청원 : 청람어문교육학회, 2007. 12. 31, 449~483쪽.
90. “「심청전」 관련 설화의 전승 양상과 성격,” 교원교육 제23권 제4호,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7. 12. 30, 21~45쪽.
91. “「시부모 길들인 며느리 설화」에 나타난 시부모 길들이기의 방법과 전승 집단의 의식,” 도남학보 21,22, 서울 : 도남학회, 2008. 11. 29, 111~150쪽.